지상강좌
  • A Guide for Community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Preceptors
  • JeeMi Lim*

  • Homecare Goodmorning Pharmacy

  • 지역약국 실무실습 프리셉터를 위한 가이드
  • 임지미*

  • 홈케어굿모닝약국

  • This article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6-year curriculum in the College of Pharmacy in South Korea since 2011, practical training is compulsory, and all pharmacy students are obliged to carry out 200 hours of practical training at community pharmacies. Community pharmacy preceptors have to maintain professionalism as well as communication skills and ethical car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to fulfill professional social responsibilities. The community pharmacy preceptor is someone who educates, supervis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 students’practical ability to work in the community pharmacy. Therefore, students’introductory community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can be greatly enhanced. Herein, a community pharmacy practical training preceptor guide is presented in 10 modules to guide the professional role of preceptors and help students in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training.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training, effective and appropriate guide should be developed and analyzed for pharmacy preceptors in term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is manual presents a technical communication document for preceptors working in the community pharmacy, the primary experts whose role is to prevent and treat diseases through patient consultation.


Keywords: Preceptor, Pharmacy student, Pharmacy experiential education, Community pharmacy

서 론

2011년부터 국내 약학대학 6년제 교육과정의 시행으로1) 실무실습 교육이 의무화되었으며 모든 약학대학 학생은 필수 지역약국 실무실습 200시간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를 교육하고 감독하는 지역약국 프리셉터는 미래의 약사들을 양성하는데 있어 학생들의 지역약국 실무역량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역약국 예비약사 실무실습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 질적으로 훌륭한 전문가 양성이 중요하다. 약학대학 교육 중 실무실습 교육이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약학대학 학생들은 지역약국 실무실습 중 지역약국에서 약사의 역할을 배우고 1차의료 담당전문가에게 사회적 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태도, 자질,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러한 실무실습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학생이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회가 제공되는지를 점검하고, 지역약국 프리셉터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2)
또한, 프리셉터 역할을 하는 전문가에게 그에 마땅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서로 노력하고 능력을 배양시켜 주어야 한다. 프리셉터는 교육에 앞서 실무실습 교육의 목적을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한데, 프리셉터 직무 수행을 통해 미래약사가 갖추어야할 역량인 환자 케어에 대한 학생 교육은 결국 훌륭한 약사 양성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처음 프리셉팅을 하는 경우 누구나 프리셉터로서의 자질에 대해 두려움이 있기 마련이지만, 여러 번의 학생 교육을 통해 프리셉터로서의 즐거움에 대해 알아가고, 발전해 나가는 프리셉터로의 욕구와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올바른 이유가 있다면 훌륭한 프리셉터로의 자질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3)
그러기 위해서 프리셉터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프리셉터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향상시키는데에는 교육도 필요하며 학교와 학생이 가지는 교육에 대해서도 충족해야 하는 만큼 주어진 교육 기간 내에서 미리 일정을 계획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실습 교육을 받는 학생들 별로 요구사항이나 생각이 각기 다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조율이 필요할 수 있다. 프리셉터 역할인 예비약사의 임상실무교수는 실무교육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자이며 예비약사 실무실습을 지도한다. 따라서, 본 지상강좌에서는 프리셉터의 직능적인 역할을 제시하고 학생들의 실무실습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지역약국 실무실습 프리셉터 가이드를 개발하고 지식, 기술과 태도 뿐만 아니라 멘토로서 총 10개의 모듈로 나누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4)

본 론

모듈 1: 프리셉터의 전문성(Professionalism)
약사 양성을 위한 지역약국 프리셉터는 실습교육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자로서, 지역약국 전반적인 실무에 관한 지식, 기술과 태도를 가지고 멘토로서 다양한 측면에 능통해야 하며, 전문 보건의료인이 갖춰야 할 직업전문성(professionalism)을 지녀야 한다.3,4) 따라서, 환자의 약물요법을 검토하고 환자케어 활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약사의 전문성에 초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환자와 상호작용을 하며 학생들은 신규 혹은 재처방 복약지도, 점두에서의 약물상담, 약물정보 요구에의 응답, 또는 약물요법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프리셉터는 환자상호작용에 있어 가능하면 학생에게 즉석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5) 이런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은 잠재적이거나 또는 현재의 약물요법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게 된다. 또 학생은 환자에게 어떤 추가적인 환자케어 서비스가 필요한지 고민해 보게 된다.
프리셉터는 약학지식을 기반한 전문성(질환 치료제 메커니즘 이해, 질환별 병리와 진단기준, 처방 이외 케어 방법 이해), 실습생과의 의사소통, 실습생과의 친밀도, 실습생의 약사로서의 역할 모델링, 약사로서의 직능 및 윤리의식, 실습지도에 대한 열의, 지도력(실습 계획, 과제물 평가(Fig. 1)), 약국경영의 모범성, 약물에 대한 작용기전 및 복약지도 숙지, 약물 상호작용, 예상부작용, 환자대응 능력, 처방검토 능력(병용 금기 약물), 상담역량, 한방약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모듈 2: 멘토와 롤 모델(Role Model)
프리셉터와 학생의 관계는 멘토 멘티와 비슷한 관계를 지니게 된다. 프리셉터는 멘토가 되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인 교육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성 때문에, 프리셉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들에게 롤모델이 될 수 있다. 프리셉터가 약국에서 일할 약사를 교육한다는 생각으로 실습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은 미래에 같이 일을 하고 싶을 만한 약사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멘티가 된 실습생은 자신의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실습 상황에 적용하고 결과를 관찰하며, 자기 성찰이나 프리셉터의 조언에 따라 수정하며, 유능한 전문가가 되기 위해 지식과 기술을 키워야 한다. 멘토링 과정을 통해 멘티와 멘토 모두 멘티의 전문적인 목표와 관심에 대한 지식, 기술 및 관점을 넓힘으로써 혜택을 볼 수 있다. 신뢰하고 육성하는 관계를 구축하면 멘토와 멘티가 멘티의 성공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계획표와 함께 장단기 목표를 식별할 수 있는데 관계가 성숙해짐에 따라 유연성이 필요할 수 있다는 인식과 함께 초기에 명시적인 작업 지침을 수립함으로써 멘티의 목표는 점점 달성하고 때로는 변경된다. 멘토와 멘티의 독특한 기술, 방법의 한계에 대한 반성적 분석은 멘토링 계획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멘토링의 도전적인 문제는 멘토 지원 및 조언과 멘티의 독립성, 자기 평가 및 창의성 기회의 균형을 맞출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각 멘티에 대한 접근 방식을 개별화하는 방법으로 약국의 실무실습 기관의 역할과 직능에 대하여 보다 나은 좋은 영향을 끼치려고 노력한다. 교육자로서의 발전이 생기며 환자에게의 영향력이 두배가 된다는 생각의 의지가 약사 직능과 사회의 발전에 도움이 되며 롤 모델이 될 수 있다.6) 따라서 우리는 실습생이 유능한 약사가 되기 위해 어떻게 기술, 전문가적인 대응능력이나 판단능력을 발달시키는지 볼 수 있다.7) 프리셉터는 전문지식을 요구하는 임상 실무교육자로서 의지가 약사 직능과 사회 발전 뿐만이 아니라 전문 직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 중의 하나이고 멘토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약사의 역할 및 직능을 배울 수 있다.8)

모듈 3: 교육자 직능(Educator Role)
프리셉터들은 각 학생들에게 맞는 개별화된 교육을 조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학습자에 맞추어 개인별 교육을 실시 할 수 있다. 학습자의 종류로는 개념적으로 접근하는 직관적 학습자, 시각적 자료를 선호하는 언어적 학습자, 직접일을 해보거나 다른 사람들과 일해보면서 익히는 학습자, 점진적 단계를 거쳐 시스템적 사고를 가지는 학습자가 있다.
교육자의 역할로서 다양한 교육법에는 업무를 직접 경험해보기, 케이스 스터디, 그룹토론, 프로젝트 과제 등이 있다. 프리셉터는 실습장소에서 학생이 할 수 있는 업무 리스트를 작성하고 학생에게 특히 희소가치가 있는 일이라도 업무를 분담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모든 유형의 스타일에 맞춰서 실습을 제공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학습 및 교육 기회를 마련해 두어야한다.3) 아래의 사항들은 구체적으로 실무실습을 진행하면서 필요한 기술이며 약사로서의 올바른 태도를 교육해야 한다.

∙약물과의 상호작용은 물론이고 식품과의 상호작용도 종종 문제가 되는 것을 인지시킨다.
∙환자와의 대면을 편하게 여기고 환자의 요구 확인에 따른 약물 선택의 방법도 필요하다.
∙약물의 최대용량과 복용법을 인지하고 부작용에 대한 대처방법을 알려준다.
∙조제 중에 실수가 일어났을 때는 본인의 실수 인지 확인하고 그 부분을 바로 이해하고 인지하였음을 알림으로 인해 신뢰감을 형성한다.
∙출근시간이 지연되었을 경우에는 늦은 것을 알리고 약간의 연장근무를 통하여 보충한다.
∙환자 대면시 약물의 이해가 필요한 경우 인터넷 전문정보를 통해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한다.
∙환자, 의료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교육을 체계적인 SOAP 노트 형식으로 약물요법을 검토할 수(Fig. 2) 있으며 환자에게 얻은 환자 정보와 실시되는 치료법의 잠재적이거나 현재 약물치료에 문제가 있는 환자를 식별 할 수 있다. 이런 교육법은 학생이 환자, 약사 또는 기타 의료 제공자와의 개입을 통해 식별된 약물 요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환자가 호소하는 어떤 일이(what) 무엇이 그 결론을 이끌었나(why), 언제(when), 누가(whom), 임상결과 수치를 기준으로 다른 질병의 개선여지를 위해 복용중인 약물과 건강기능 식품의 선정, 약물용량과 용법을 선정할 수 있다.

모듈 4: 조력자 직능(Facilitator Role)
프리셉터는 실무실습 교안의 직능이 있는 세부영역을(Fig. 3) 통하여 직능을 공유하고 조력자 역할을 해야한다. 프리셉터의 최종적인 목표는 학생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학생들이 활동적으로 배우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교육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며 능동적인 학습을 하는 것이 익숙하지 못한 학생들에게는 어려운 일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프리셉터는 이런 학생들에게 조력자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사람들이 서로 잘 어울리게 할 수 있는 프리셉터들은 다른 사람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프리셉터는 학생에게 중요한 업무를 맡기고 그 일이 실무와 많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학생들이 실습 사이트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있도록 하고 환자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알려주어야 한다. 또한 프리셉터는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학습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렇게 할수록 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고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면서 더 많은 학습을 할 수 있다. 학생들은 실습기간 동안 약사의 직접 관리하에, 오리엔테이션과 교육 과정을 거치고, 약사 업무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약사들은 프리셉터의 역할이나 실무실습 교육을 시행 후 체계적으로 잘 교육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자신에 대한 욕구도 새롭게 생겨나며 학생의 태도와 실무실습교육을 진행하는 동한 노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핵심적 직능이 있다.

모듈 5: 평가자 직능(Evaluator Role)
학생들과의 건설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습의 방향을 설정하여야 한다. 피드백을 통해 각 학생이 무엇을 배우고 싶어 하는지 알 수 있고,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각 학생에게 알맞은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학생들이 실습 사이트에서 지녀야할 태도에 대한 효과적이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다. 또한, 프리셉터는 평가자의 역할도 해야 한다.10) 학생들의 업무 능력을 공식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연습이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연습을 통해서 자신감을 갖을 수 있다. 평가자로서 프리셉터는 학생의 실습 상황에 대해 건설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좋은 평가란 학생에게 실습에 동기부여를 해주기 위해 잘한 일에 대해서는 칭찬을 구체적으로 해주는 것이 좋다. 가끔 학생과 껄끄러운 대화를 피하기 위해 무조건 좋은 점수를 주는 것은 학생들이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실무실습의 주기적인 평가를 통해 실습의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학생이 실습을 하며 어떤 역량을 수행하였는지 알 수 있고 어떤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한지 알 수 있다. 그리고 프리셉터는 성공적인 전문가다운 행동, 결근 시 규정, 흡연 및 약물 남용 정책, 복장 규정, 핸드폰 사용 규정을 알려주어야 한다. 학생은 실습을 마치고 프리셉터와 실습장소에 대해 평가를 하며 피드백을 제공해야한다. 이것은 프리셉터의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는 영향력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학생이 본인 평가를 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는 학생이 평생학습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단계이기 때문이다.

모듈 6: 임상실무교수의 직능(Role of the Clinical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Advisor)
프리셉터의 역할은 도전적이고 보람찬 일이다. 이에 다음의 사항들을 항상 명심하고 있어야한다.

1)인내심을 가지고 설명해야 한다. 왜 작업을 수행하는지 설명한다. 약국에서 진행되는 모든 업무를 학생들이 실습 사이트에서 모든 학생이 모든 용어, 시스템 및 기술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짐작하면 안 된다(Fig. 3).
2)프리셉터 역할에 약사를 대표해서 수행하고 지역약국의 실습 사명 및 가치를 지지해야 한다.
3)부재하게 된다면, 학생과 해당 관리자에게 그날 학생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 주어야한다.
4)학생들에게 주기적인 평가를 학생과 공유하고 학생의 질문에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5)프리셉터는 학생들을 교육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실습 관리자와 긴밀하게 일을 할 필요가 있다.
6)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프로그램은 약대 교육과정에서 학습될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에 실무 전산 프로그램을 지역약국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물류관리의 개념과 재무회계의 경영관리 전산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실무 프로세스를 하는데 디지털 헬스케어시대에 맞게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7)약물데이터를 다루는데 약사 교육을 통하여 핵심 역할을 담당하며 임상정보학 내 약국정보학이라는 필수 도메인으로 자리잡는데 기여할 수 있다.11) 예비약사의 프리셉터로서의 전문지식을 요구하는 전문성과 임상 또는 약국업무 관련 지식의 습득과 교수법에 관한 우리의 끊임없는 노력은 후배약사의 양성에 윤리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에 분명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듈 7: 데이터 산업 대열에 필요한 미래약사의 직능
(Preparation of Future Pharmacists)
약학대학이 6년제(2+4년제)로 개편되고 임상약학의 이론과 실무실습이 병행되면서 현재 국내에서도 임상약사가 배출되고 있다. 따라서 현 시기는 우리나라도 미국과 같은 ‘Pharmaceutical Care Era’내에 있는 것이다. 약료(pharmaceutical care)란 1990년대 도입된 개념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확실한 치료성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약물요법을 책임감 있게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12) 향후 전문약사제도 법제화 및 수가 현실화가 실제 이루어진다면 약물모니터링, 처방검토 및 문제점 파악 환자와의 전문적인 상담 등이 수행될 것이며, 그 결과 지역사회 약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나타날 것이다.
이미 2014년 세계약사연맹(International Pharmaceutical Federation, FIP)에서는 비전을 제시하는 바젤선언문 개정안을 발표하였고, 국내에서도 보건복지부 정책연구과제로 약사인력 양성 및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2013) 약국 및 의료기관 약제업무 관리지침 개발(2020) 등 약사 직능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심이 진행되고 있다.13)
약국의 약사는 DUR 시스템의 약물과 건강기능식품의 상호작용을 검토하여 통합전자처방전의 도입(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과 국가통합전산망을 통한 의약품 유통정보 공개, 지역사회 만성질환자에 대한 약사의 임상적 전문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적으로도 약사의 직능을 존중 받기 위해서는 1차 의료기관인 약국에서 환자의 건강관리, 전사적자원관리, ERP를 사용하는 의약품 및 일반의약품의 재고 관리 등의 데이터 기반으로 환자 상담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약국에서 발생하는 문제로는 EMR 데이터와 ERP 데이터가 상이하여 데이터를 신뢰하기 어려운 점, EMR의 재고 변동 사항들을 ERP에서 제대로 반영해 내지 못하여 시스템을 이용하지만 수작업이 요구된다는 점, 일련번호제도 및 마약류통합관리제도가 도입되었지만 ERP프로그램과의 호환이 되지 않아 추가적인 업무가 발생한다는 점이 있다.14) 특히 ERP 재고결과와 현물의 결과가 서로 다르다는 점도 있어서 많은 시스템적 지원과 교육이 있어야 한다. 최근 자동화와 정보화는 처방조제, 복약지도, 약품관리 등과 같은 전통적인 약사의 직능을 가진 약사라는 직업군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약사들은 전통적인 직무에 그치지 않고, 자동화와 정보화를 활용하는 미래의 약사상을 준비해야 한다.

모듈 8: 약사서비스의 상담 직능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약국 업무를 운영하는 약국장이 주 프리셉터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역약국 약사는 약사서비스를 진행하게 되는데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제 포장은 약의 흡습성 유무를 기준으로 또는 상호작용 문제로 따로따로 주는 경우, 상담하는 서비스 직능이 전문성을 기준으로 약의 목적이 맞는지 한번 확인하거나 전화를 통한 재상담의 경우, 약사와 환자간 서로 신뢰가 있는 경우, 재상담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진행을 한다. 또한 약사의 서비스를 위한 직능인 일반의약품 선택 복약지도에 대해 환자에게 기본적으로 안내할 사항이 있는지 확인한다. 건강기능식품과 상처 소독약 거즈 당뇨 소모성 재료 선택, 욕창방지 용품 등은 필요에 맞추어 상담을 진행한다(Fig. 3). 그리고, 환자상담을 하기 위하여 SOAP 노트 작성법 환자상담(Fig. 2) 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다. 일반의약품 선택 복약지도에 대해 환자에게 처리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약국의 약사가 상담할 업무를 Fig. 3에 제시하였다. 다음은 상담요령과 선택 방법을 요약하였다.
일반의약품 복약안내를 가장 많이 하게 되는 해열진통제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s)에서는 알레르기 이력이 있는지, 복용 중인 약이 있는 지와 함께 통증에 필요한 성분들을 선택을 하면 부작용 등이 덜 발생하여 복약순응도가 좋아진다. 또한, 기저질환이 있거나 비스테로이드 소염 지침 최근 가이드라인15)에 따르면 NSAIDs중 나프록센이 65세 이상 노인에게 1차로 선택이 가능하다. 특히, 심혈관계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서는 예방적 목적의 저용량 아스피린 처방이 필요하며 NSAIDS병용이 필요할 때에는 나프록센 처방이 권장된다.16) 또한, 열감・두통・편두통・치통・근육통의 경우 아세트아미노펜과 NSAIDs계열인 이부푸로펜, 나프록센 등이 쓰인다. 근이완작용과 말초혈관 수축작용 염증성 통증에는 활성형 식이유황 성분(methlysulfonylmethane, MSM)을 통해 결합조직을 강화하며 생리통에는 진통제와 부기를 빼는 성분인 파마브롬, 복부경련을 줄여주는 스코폴라민 등 성분의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불편한 증세를 완화시킨다. 그리고, 위장관계 질환이 생겼을 때는 우리 몸에 탈수증상이 생겨 갈증인지와 배고픔인지를 잘 판단하고, 우리 몸의 체액손실로 인하여 소화액이 줄지 않도록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셉터가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약사서비스와 상담은 예비약사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예비약사의 상담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실무실습활동 비율과 빈도별 실습영역, 특히 상담이 필요한 처방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활동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Table 1).

모듈 9: 실무실습 일정(Schedule) 감독
학생들은 5-10주간 동안 주 40시간 실습을 하게 된다. 실습 기간 내에 결근할 일이 있다면 미리 실습 관리자에게 확인을 받아야한다. 갑작스러운 일로 결근하게 되는 경우 실습 사이트의 결근 규정을 따라야 하고 프리셉터와 실습 관리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지역약국 실무실습 계획서(1주차-5주차)(Fig. 1)를 보면서 주차별 문서를 남겨야 하는 기록과 과제 위주로 계획서를 공유하여 구체적인 기록방법과 지식의 내용을 알고 기술을 반복해 나갈 수 있다. 실습계획서를 학생들과 공유하면서 1주차에 대해서 어떤 일을 하게 될지 어떤 실습교육을 받게 될지 어떤 작업을 할 때는 이 과정이 왜 필요한지를 얘기할 수 있어야 하며 다음의 계획서는 주단위별로 계획서를 토대로 진행한다(Table 2). 또한, 주차별 지식, 기술, 태도, 환자와의 상호작용, 문제의 난이도 등 복잡성과 빈도, 학생에게 주어지는 자율성 등 여러가지 항목들이 약사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요소들이기에 수행능력에 따라서 섬세하게 조절하고 낮은 강도와 반복이 필요할 때도 있다는 스케줄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Table 3). 그리고, 업무영역을 구분하기에 따라서는 약사의 직능이 있는 업무영역(Table 4)으로 나누어 업무를 반영할 수 있다.

모듈 10: 실무실습 균형(Balance of Practice Contents) 가이드
각 지역약국의 경험에서는 많은 일반적인 지식, 기술, 태도를, 약간의 특별한 지식, 기술, 태도를, 많은 환자 상호작용과 문제 빈도를, 적은 문제의 복잡성을, 그리고 약간의 자율성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지식, 기술, 태도. 이 항목은 실습에 기본이 되는 사항들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유용하거나 어떤 상황에서든 배울 수 있는 것이 이 항목에 해당한다.
-특별한 지식, 기술, 태도. 이 항목은 폭넓은 경험을 제공한다. 특정한 상황이나 특정한 환자에서 찾을 수 있고, 특정한 상황에서만 유용하다.
-환자 상호작용. 이 항목은 실제 환자와 상호작용하며 보살피는 것을 포함한다. 직접 환자들과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더욱 의미가 있다.
-문제의 빈도. 문제는 반복되며 학생들이 얼마나 편하고 자신감을 갖게 되는지의 정도와 관련이 있다. 빈도가 많아지는 반복의 방법은 이 항목과 다음 항목을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식과 기술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문제의 복잡성. 이 항목은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얼마나 어려운 지와 관련이 있다. 각 문제가 얼마나 많은 실행 가능한 해결책이 있는지 얼마나 해결하기 어려운지와 문제의 복잡성은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운다.
-자율성. 이 항목은 학생들에게 주어진 책임의 양과 관련 있다. 프리셉터의 관리 하에 얻어진 결과에 대해 학생들에게는 얼마나 책임이 있는가? 자율성은 학생이 결국에 독립적인 약사로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16)

이와 같이 프리셉터의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서 어떤 실습기관에서는 매우 적은 환자 상호작용을, 문제 복잡성을, 그리고 낮은 자율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역약국에서 특정한 경험 이상으로 다양한 경험의 “전체”의 균형이 실무실습에서 가장 중요하다. 필수 실무실습은 학생들의 경험에 필요할 지식, 기술, 태도를 제공하므로 교육을 위한 스케줄에서는 그 학생의 전체적인 실습의 균형을 중요시 하고, 제공되도록 진행하여야 한다.

Fig. 1

Example of a community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schedule (weeks 1-5)

Fig. 2

Medication selection and counseling through SOAP note writing and patient counseling

Fig. 3

Skills for pharmacist services

Table 1

Rate and frequency of recommended activities during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Table 2

Example of a schedule according to the pharmacy experiential education lesson plan (5 weeks)

Table 3

Detailed weekly activity schedule for future pharmacists

Table 4

A guide to detailed job functions according to the pharmacy experiential education lesson plan

결 론

예비약사의 실무실습 또는 약국업무 관련 지식의 습득과 교수법에 관한 지역약국 프리셉터의 끊임없는 노력은 후배약사의 양성에 윤리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지역약국 프리셉터는 전문성과 더불어 소통이나 대인관계의 유지, 환자의 치료에 있어 윤리적인 대처, 전문가의 사회적 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태도, 자질, 능력 배양, 그리고, 환자의 상담을 통해 질병의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일조하는 전문가이며, 지역약국에서 활동하는 예비 및 현 프리셉터에게 이 매뉴얼이 기술 소통문서가 되었으면 한다.

감사의 말씀

이 지상강좌의 많은 부분을 필자가 쓰기까지 차의과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을 지도해 주신 심미경 교수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References
  • 1. Kim E, Ghimire S. Career perspectives of future graduates of the newly implemented 6-year pharmacy educational system in South Korea. Am J Pharm Educ 2013 Mar 12;77(2):37.
  •  
  • 2. Lim JM. A job analysis of community pharmacy preceptors and community pharmacy practice clerkship improvement. Ph.D. Thesis for Pharmacy The CHA University of Korea. 2020.
  •  
  • 3. Teng K, DiPiero J, Meese T, Doerr M, Leonard M, Daly T, Lacbawan F, Chalmers J, Stowe D, Knoer S, Hicks JK. Cleveland Clinic's Center for personalized healthcare: setting the stage for value-based care. Pharmacogenomics 2014 Apr;15(5):587-91.
  •  
  • 4. O’Sullivan T, Bray B, Morrison R, Woodard L, Fuller T. Experiential Training Manual for Use by Pharmacy Preceptors, Interns and Technicians. 3rd ed. 2001.
  •  
  • 5. Ferrone M, Kebodeaux C, Fitzgerald J, Holle L. Implementation of a virtual dispensing simulator to support US pharmacy education. Curr Pharm Teach Learn 2017 Jul;9(4): 511-520.
  •  
  • 6. Jones M, Straker K. What informs mentors' practice when working with trainees and newly qualified teachers? An investigation into mentors' professional knowledge base. J Educ Teach 2006;32(2):165-184.
  •  
  • 7. Assemi M, Corelli RL, Ambrose PJ. Development needs of volunteer pharmacy practice preceptors. Am J Pharm Educ 2011 Feb 10;75(1):10.
  •  
  • 8. Knoer S, Weber RJ, Witmer DR, Zilz DA, Ashby DM, Rough S, Stevenson JG, Bush PW, Daniels R, Calabrese SV, Chen D. Highlights of the Cleveland Clinic pharmacy practice model summit. Am J Health Syst Pharm 2013 Feb 15;70(4): 356-65.
  •  
  • 9. Paravattil B. Preceptors' self-assessment of their ability to perform the learning objectives of an experiential program. Am J Pharm Educ 2012 Nov 12;76(9):169.
  •  
  • 10. ASHP Statement on the Pharmacist's Role in Clinical Informatics. Am J Health Syst Pharm 2016 Mar 15;73(6):410-3.
  •  
  • 11. Chang MJ, Noh H, Lee JI.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the student practice program in the hospital under the 6-year college of pharmacy curriculum. Korean J Clin Pharm 2013;23(4): 300-306.
  •  
  • 12. Jung AH, Jung S, Kwon K.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pharmacists in Korea. Yakhak Hoeji 2014;58(4):277-285.
  •  
  • 13. Cheon YJ. A study of Future Pharmacist Job Description Model based on Evaluation of Hospital Pharmacist's Function: Pharmacist's Role Model Required by Diversity of Disease & Pharmacotherapy and Digitalization Transformation. Ph.D. Thesis for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20.
  •  
  • 14. Chou R, Helfand M, Peterson K, Dana T, Roberts C. Comparativ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nalgesics for osteoarthritis [Internet]. 2006. cited 2019 Jun 10.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 nih.gov/books/NBK42994/
  •  
  • 15. Park MG, Yoo JD, Lee KH. Current Guidelines fo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J Korean Orthop Assoc 2020;55(1): 9-28.
  •  
  • 16. Williams CR, Wolcott MD, Minshew LM, Bentley A, Bell L. Findings from A Qualitative Preceptor Development Needs Assessment to Inform Program Design and Effectiveness. Am J Pharm Educ 2021 Jul 22:8450.
  •  

This Article

  • 2021;7(2):87-96

    Published on Nov 30, 2021

  • Received on Nov 5, 2021
  • Revised on Nov 14, 2021
  • Accepted on Nov 23, 2021

Correspondence to

  • JeeMi Lim
  • Homecare Goodmorning Pharmacy, 3, Yatap-ro 69, Bundang-gu, Seongnam-si, Kyungki-do, 31116, Republic of Korea
    Tel: +82-31-707-1661, Fax: +82-31-703-5313

  • E-mail: morning1661@naver.com